2024/12 3

2024년 어느 엉성한 개발자의 회고

0. intro회고는 "나를 되돌아 보는 수단"이며, "내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수단"이 된다.생각보다 너무 빠르게 지나간 한 해였고, 올해도 많은 일들이 있었다.새로운 것들을 많이 해본 해였고, 20대의 마지막을 보내게 된 해이기도 하다.지난 회고가 궁금하다면…2023년 - 어느 이상한 개발자의 회고(진짜 큰일이다, 내년엔 어떤 개발자라고 하지…)(올해는 추천 받아봤는데 이상한 사람들이 너무 많다…)올해는 ‘엉성한’ 개발자를 선택했다.꺼벙한 이라는 단어를 추천받았는데, 뜻을 검색해보니 조금 마음에 들지는 않았다.다만, 뜻에 엉성한 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이도 저도 아니고 뭔가 엄청 잘하는 것도 아닌 개발자라면 엉성한 이라는 단어 꽤나 어울릴 것 같아서 선택하게 됐다.(노션으로 작성했기 때문에, 포맷..

회고 2024.12.31

[책 리뷰] AGI의 시대

한빛미디어의 '나는 리뷰어다' 12월 서평단으로 'AGI의 시대' 책을 선택하여 종이책으로 받아 읽게 되었다. AI는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AI의 시대라고 보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하지만 AGI라는 단어는 낯선 단어이기도 하다.AGI는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의 약자로 일반인공지능 혹은 인공일반지능이라고 불린다.AGI에 대해 처음으로 부르기 시작한 사람이 누군지는 모르고, AGI에 대한 명확한 정의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100명의 전문가에게 물어보면 100가지 답이 나올 정도라고 한다.나는 AI전문가가 아니다. 그저 이 책을 접한 한명의 독자로 AGI를 소개하라고 한다면, 나는 인간을 뛰어넘는 AI라고 부를 것 같다.AGI에 대한 레벨도 있고, 영역도 다양하다고 하지..

리뷰 2024.12.29

프론트엔드 개발에 대한 고찰 - 아키텍처 관점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나름 일 해오면서 내가 생각하는 개발에 대해 적어보려고 한다.참고로 아직까지 주니어이고 싶은 내 개인적인 생각이고 의견인 만큼, 정답은 아니며, 충분히 다른 의견도 있을 수 있다.그저 참고 정도로만 활용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객체지향 패러다임을 주로 사용하는 언어의 분야에서는 아키텍처의 중요성을 많이 알고 도입하려는게 많이 보인다.나 역시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언어로 공부를 시작했었기 때문에, 아키첵처를 굉장히 좋아하는 개발자가 됐을 수도 있다.개인적으로 개발을 프론트엔드로 시작한 사람들한테 보이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아키텍처에 대해 너무 소홀히 여기는 편인거 같다.계층을 왜 나눠서 관리를 하는지, view의 역할이 무엇인지 등 이해를 잘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개인적으로 프..

개발 2024.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