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3

HTTP 1.1

HTTP (Hyper Text Transfor Protocol) 1.1에 대해 알아보자HTTP 1.1은 왜 생겼을까HTTP 1.1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일까 HTTP란 무엇인가?WWW (World Wide Web)의 기반역할을 하는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HTML 기반의 문서를 주고 받기 위해 WWW가  탄생하면서, 연결 지향적인 특징과 TCP/IP  프로토콜 기반의 신뢰성있는 통신 규약이 만들어졌다.HTTP 0.9초기 HTTP/0.9버전으로 만들어졌으며, 하이퍼텍스트만을 통신하기 위해 고안됐다.이때는 복잡한 기능은 제공하지 않고, GET 메서드만 존재했다.기본적으로 포트를 정의하지 않으면 80포트를 사용하여 연결이 되도록 지원했다.별도의 HTTP 헤더나 상태 코드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응답은 HTML 파일만..

개발 2025.02.02

SSL

SSL (Security Socket Layer)에 대해서 알아보자SSL은 OSI 7 Layer 중 어디에서 적용될까http에서 https로 redirect되는 원리는 무엇일까 SSL이란 무엇인가?Security Sockets Layer의 약자로 암호화 기반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이다.인터넷 통신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Netscape에서 1995년 처음 개발 됐다.SSL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TLS의 초기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SSL 1.0은 일반에 공개되지 않았고, SSL 2.0은 심각한 결함이 있었다고 한다.이런 결점을 극복하고 출시된 것이 1996년 SSL 3.0이다.TLS (Transport layer Security)는 1999년 IETF (Internet En..

개발 2025.01.19

프론트엔드 개발에 대한 고찰 - 아키텍처 관점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나름 일 해오면서 내가 생각하는 개발에 대해 적어보려고 한다.참고로 아직까지 주니어이고 싶은 내 개인적인 생각이고 의견인 만큼, 정답은 아니며, 충분히 다른 의견도 있을 수 있다.그저 참고 정도로만 활용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객체지향 패러다임을 주로 사용하는 언어의 분야에서는 아키텍처의 중요성을 많이 알고 도입하려는게 많이 보인다.나 역시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언어로 공부를 시작했었기 때문에, 아키첵처를 굉장히 좋아하는 개발자가 됐을 수도 있다.개인적으로 개발을 프론트엔드로 시작한 사람들한테 보이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아키텍처에 대해 너무 소홀히 여기는 편인거 같다.계층을 왜 나눠서 관리를 하는지, view의 역할이 무엇인지 등 이해를 잘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개인적으로 프..

개발 2024.12.22